월요斷想[風水地理]
월요斷想[風水地理]
풍수지리는 땅(흙)속에 무한한 생명 에너지(地氣)가 있어 만물을 키워내는 활력이 있다고 보고 이 활력의 후박(厚薄) 정도가 인간의 길흉화복(吉凶禍福)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한국에서 풍수지리 사상은 산악숭배사상, 지모(知母)사상, 영혼불멸사상, 삼신오제사상 등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고대로부터 내려온 풍수사상은 신라 말기에 활발해진 중국과의 문화교류로 더욱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풍수(風水)를 논하는 기본 대상물은 산(山)과 물(水)입니다.
그러나 풍수(風水)를 산수(山水)라 하지 않고 풍수라고 부르는 이유는 기(氣)는 바람(風)이 불면 흩어지고 물(水)을 만나면 머무는 이치에서 풍수법(風水法)은 물을 얻는 것이 먼저고, 바람을 막는 것은 다음이어서 옛사람은 기를 모아 흩어지지 않게 하고, 기가 흐르다가 멈추게 한다고 하여 이를 풍수라고 명명하였습니다.
이러한 의미에선 풍수란 바람을 막고 물을 얻는다는 장풍득수(藏風得水)라고 요약할 수 있습니다.
동기감응[同氣感應]
『청오경(靑烏經)』과 함께 풍수지리 최고의 고전인 『금낭경(錦囊經)』 제1장 「기감편(氣感篇)」에서 동기감응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장자승생기야(葬者乘生氣也) 오기행호지중 발이생호만물(五氣行乎地中 發而生乎萬物)
인수체어부모(人受體於父母) 본해득기 유체수음(本骸得氣 遺體受蔭)
경왈 기감이응 귀복급인(經曰 氣感而應 鬼福及人) 시이 동산서붕 영종동응(是而 銅山西崩 靈鐘東應)
이를 해석하면, 장사(葬事)라는 것은 생기를 받는 것이다. 오행의 기는 땅속으로 흐르면서 만물을 낳는다. 사람은 부모에게서 몸을 받는다. 부모의 유골이 기를 얻으면 자식이 음덕을 받는다. 경에 이르기를 기가 감응하면 귀복(鬼福)이 사람에게 미친다. 그래서 구리광산이 서쪽에서 붕괴하자 영험한 종이 동쪽에서 응하여 울렸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있어서 「풍수지리」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현대적 의미에서 동기감응(同氣感應)은 조상 묘소의 좋고 나쁜 기운이 후손들에게 끼치는 영향을 발음(發蔭), 발복(發福) 또는 동기감응(同氣感應)이라고 합니다.
조상과 후손은 같은 혈통 관계로 같은 유전인자를 가지고 있기에 서로 감응을 일으킨다는 이론입니다.
동양철학에서는 기(氣)를 ‘기(氣)는 어느 곳이든 없는 곳이 없는 무소부재(無所不在)한 것으로, 새로 생기거나 없어지지도 않는 불생불멸(不生不滅)한 것입니다. 따라서 시작도 끝도 없는 무시무종(無始無終)의 존재로, 불변형질(不變形質)이다’라고 정의하였습니다.
필자는 주변 가까이에 주역(周易)과 풍수에 관하여 전문적 식견을 갖고 계시는 분들과 친분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임인년(壬寅年)을 맞이하여 토정비결(土亭秘訣)에 대하여 서로의 의견을 논(論)하던 중 문득, 지모사상(地母思想)이 화제가 되어, 이번 주 월요斷想 주제를 풍수지리로 정하고 몇 줄 인용하였습니다.
이번 주는 비록 관심은 없을지라도 풍수와 동기감응, 지모사상, 기 등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 조선 명종 때, 토정 이지함이 지은 토정비결을 재미 삼아 「임인년 토정비결 작괘 조견표」를 통하여 임인년 자신의 운수나 운세(運勢)를 알아보는 그런 여유로운 한주였으면 합니다.
067회 /2021년 12월 27일
曉觀山房에서
仁潭合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