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단상

월요斷想[運命과 數理]

효관 2021. 11. 22. 00:15

월요斷想[運命數理]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아라비아 숫자는 인도에서 발명되고 아랍을 통해 유럽에 전해졌습니다.

아라비아 숫자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825년 알 콰리즈미가 쓴 책에서 찾을 수 있는데,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을 뜻하는 기수법은 영어로 알고리즘(algorism)이라고 하며, 이는 알 콰리즈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인류의 획기적인 발전을 이끈 것은 불의 사용, 농경의 발달, 문자의 사용 등과 같은 발견과 발명입니다.

하지만 숫자는 불의 사용이나 농경의 발달과 마찬가지로 수천 년 혹은, 수만 년 동안 인류가 발명에 발명을 거듭해 오늘 이 모습에 이르렀으며, 숫자의 역사는 그래서 선사시대에서 중세에 이르는 인류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시간 여행의 역사이기도 합니다.

 

운명과 수리[運命數理]

실제로 까마득히 먼 옛날, 사람들은 숫자에 미신적인 두려움을 품고 때로 숫자를 어떤 힘, 말하자면 행운이나 액운을 가져오는 신()들과 동일시했습니다.

정재원의 운명, 숫자의 비밀(도서출판 상상나무, 2009), 3숫자의 운명학에서는 인간의 생활과 가장 밀접한 것이 수리이며, 수리와 인간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운수를 파악하여 대비시킨다면 인생을 성공적으로 영위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모든 사람에게는 자기 운수와 맞는 일생의 숫자가 있는데, 홀수와 짝수처럼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주팔자에 양()이 많은 사람은 음()의 숫자를 써야 하고, 음이 많은 사람은 양의 숫자를 써야 하듯이 숫자는 인간의 생명을 다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행운의 숫자를 가지고 있으며, 주어진 행운의 숫자를 빨리 찾아야 행운도 그만큼 빨리 오기 마련입니다.

봄 태생은 목()의 운세를 받기 때문에 목생금(木生金)으로 목()은 양()이고, ()은 음()이므로 음양이 서로 상생하므로 금()에 대한 숫자를 주며 사용하는 것입니다.

여름 태생은 화()의 운세로 화()는 양()이므로 음()의 수인 수()를 주어 화생수(火生水)가 되는 것입니다.

가을 태생은 금()이므로 금()은 음()이므로 양()의 수인 목()을 주어 금생목(金生木)이 되고, 겨울 태생은 수()이므로 수()는 음()이므로 양()의 수인 화()를 주어 수생화(水生火)가 됩니다.

여름과 가을 사이 태생은 토()이므로 토()는 양()이므로 음()의 수인 금()을 주어 토생금(土生金)이 됩니다.

그리고 숫자에는 방향이 있습니다. 주역은 38이 동쪽(, 파랑), 49는 서쪽(, 하양), 27은 남쪽(, 빨강), 16은 북쪽(, 검정), 50은 중앙(, 노랑)으로 규정하고 있어, 이러한 위치에 따져보면 우리에겐 숫자가 맞는 것과 맞지 않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있어서 운명과 수리의 관계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명리학에서는 인간의 성격과 운명은 하나같이 운기의 왕쇠강약에 의해서 형성되는 운기의 조화로서 운기의 기본인 십이운성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십이운성은 인생의 운명을 형성하는 뿌리요 열쇠인 것으로 타고난 십이운성을 알면 그 인생의 운기와 성격, 그리고 운명을 거울처럼 헤아리고 분간하며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번 주는 운명과 수리그리고 십이운성을 비롯하여 우리의 운명을 스스로 개척하기 위한 명라학에 대하여도 관심을 가져보고, 자신이 태어난 계절의 오행상생과 숫자의 방향을 연결하여 오늘의 출행 방향을 생각해보는 그런 한주였으면 합니다.

 

062/20211122

曉觀山房에서

仁潭合掌